외부로그인에서 win_password_forget() 함수는

win_password_lost()로 바꾸기 

'HOMEP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누보드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0) 2014.10.10
WEB DATA BASE의 개념  (0) 2014.10.10
FTP  (0) 2014.09.30
그누보드를 이용한 최신 게시물 작성 방법  (0) 2014.09.30
그누보드 폴더 파일구조  (0) 2014.09.13

4.32.10 (10.09.07) 

    :  아이디/패스워드 찾기 코드 보완 (보안서버 적용 등) 

        기존에 사용하던 password_forget 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으며 password_lost 로 대체합니다. 

        회원가입시 패스워드 분실시 질문, 답변을 더 이상 입력 받지 않습니다. 

    

        bbs/password_lost.php 

        bbs/password_lost2.php 

        bbs/password_lost_certify.php 

        skin/member/basic/password_lost.skin.php 

        skin/member/basic/register_form.skin.php 

        skin/member/basic/login.skin.php            : win_password_forget() -> win_password_lost() 로 대체 

        skin/outlogin/basic/outlogin.skin.1.php    : win_password_forget() -> win_password_lost() 로 대체 

        js/common.js                                : function win_password_lost() 추가 


        // 위의 패치를 적용하신 후 아래 3개의 파일은 반드시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bbs/password_forget.php 

        bbs/password_forget2.php 

        bbs/password_forget3.php

'HOMEP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_password_forget() 함수  (0) 2014.10.26
WEB DATA BASE의 개념  (0) 2014.10.10
FTP  (0) 2014.09.30
그누보드를 이용한 최신 게시물 작성 방법  (0) 2014.09.30
그누보드 폴더 파일구조  (0) 2014.09.13

WEB DATA BASE의 개념


  • 주로 웹 게시판을 제작하는 작업을 말한다.
  • 웹 db의 종류로는
    • 게시판: 글쓰기 용, 사진 게시판용, 동영상 게시판용
    • 로그인 게시판: 기본 로그인, 스킨(skin) 종류 로그인
    • 최근 게시판: 메인 화면에 사용
    • 기타 특수 게시판: 달력, 회원가입 등


'HOMEP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_password_forget() 함수  (0) 2014.10.26
그누보드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0) 2014.10.10
FTP  (0) 2014.09.30
그누보드를 이용한 최신 게시물 작성 방법  (0) 2014.09.30
그누보드 폴더 파일구조  (0) 2014.09.13

서버전송프로그램 - FTP



'HOMEP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누보드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0) 2014.10.10
WEB DATA BASE의 개념  (0) 2014.10.10
그누보드를 이용한 최신 게시물 작성 방법  (0) 2014.09.30
그누보드 폴더 파일구조  (0) 2014.09.13
그누보드 설치 방법  (0) 2014.09.13

1. 최신게시물 선언 명령어


<?
include_once("./_common.php");
include_once("$g4[path]/head.sub.php");
include_once("$g4[path]/lib/outlogin.lib.php");
include_once("$g4[path]/lib/latest.lib.php");
?>
<html>


2. 최근 게시물 스킨 사용법

 최근 게시물의 종류는 여러가지. 대표적으로 글씨만 나오는 경우와 사진이 나오는 경우.

특별한 경우 동영상이나 쇼핑몰같은 특수한 경우의 스킨도 있다.


[스킨 설치법]

1. 원하는 스킨을 찾는다. (용도에 따라..그누보드 스킨자료실)

2. 찾아온 스킨의 압축 풀기

3. 서버에 전송 [skin] - [latest] 방에 전체 폴더 전송


[스킨 적용]

1. 사용하고자 하는 페이지를 지정 ( 주로 메인 페이지)

2. 해당 위치에 애기표 위치를 정한다.

3. 애기표 위치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기재

[ex 1] <?=latest("스킨명", "게시판명", 5, 20);?>

: 게시판의 최근 5줄을 표시. 글 제목은 20자

[ex 2] <?=latest("스킨명", "게시판명", 6, 40, "6, 40");?>

: 게시판의 사진 스킨. 여기서 6은 최근 사진 6장을 나타내라는 의미

스킨의 php파일을 잘 살펴보면 아래처럼 다른 내용이 수정 가능하다. 

<?
if (!defined("_GNUBOARD_")) exit; // 개별 페이지 접근 불가 

$cols  = 3; //  이미지 가로갯수 //  이미지 세로 갯수는 메인에서 지정(총 이미지 수)
$imgwidth=100; //표시할 이미지의 가로사이즈
$imgheight=70; //표시할 이미지의 세로사이즈
$image_h  = 5; // 이미지 상하 간격


3. 로그인스킨 사용법


[스킨 설치법]


16조_외부로그인설치법.hwp



4. 사진 자동 스크롤 스킨


[설치법]

1. 스킨 파일을 받아 압축을 푼다.

2. 압축 풀린 전체폴더를 서버의 [skin] - [latest]로 전송

3. 해당되는 페이지를 나모로 불러온다.

4. 해당되는 페이지에 위치를 정한다. (애기표 설정이 안전함)

5. 나모의 html 탭으로 화면을 전환해 

<?=latest("스킨명", "게시판명", 5, 100, 120, 2);?>


'HOMEP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DATA BASE의 개념  (0) 2014.10.10
FTP  (0) 2014.09.30
그누보드 폴더 파일구조  (0) 2014.09.13
그누보드 설치 방법  (0) 2014.09.13
알FTP 사용법  (0) 2014.09.13

그누보드 파일구조에 대한 설명


[기본 파일]

  • _common.php: common.php를 호출하는 곳으로, 모든 디렉토리에서 같은 파일 이름을 씁니다.
  • _head.php: head.php를 호출하는 곳으로, 모든 디렉토리에서 같은 파일 이름을 씁니다.
  • _tail.php: tail.php를 호출하는 곳으로, 모든 디렉토리에서 같은 파일 이름을 씁니다.
  • common.php: 그누의 기본구조이며, 모든 작업에 있어서 반드시 include해야 합니다.
  • config.php: 그누의 기본적인 변수, 테이블, 도메인 등을 정의 합니다.
  • dbconfig.php: 그누의 설치후에 생기는 것으로 mysql db 접속에 필요한 정보가 있습니다. 그누를 재설치 하고자 하는 경우, 이 파일을 지우고 install.bak을 install로 바꾸면 됩니다.

[디자인 파일]
  • style.css: 그누의 기본 css 입니다.
  • head.php: head.sub.php 및 필요한 lib을 불러오고 상단 및 좌측 디자인
  • head.sub.php: 모든 곳에서 공통으로 불러 쓰며 디자인이 없습니다.
  • index.php: _common.php, _head.php, _tail.ph를 불러오고, 메인 디자인.
  • tail.sub.php: 모든 곳에서 공통으로 불러쓰며 숨겨진 iframe, 접속정보 insert 등이 있습니다.
  • tail.php: tail.sub.php를 불러오고 우측 및 하단부 디자인이 있습니다.

[디렉토리]

  • adm/ : 관리자 페이지
  • bbs/ : 그누의 기본 프로그램
  • cheditor4/ : 웹 편집기 ( cheditor, http://www.chdcode.com)
  • extend/ : 그누를 설치하면 생기는 디렉토리로 이곳의 모든 파일은 common.php에서 읽습니다. 이곳에 파일을 넣으면 그누에서 항상 쓸 수 있어서 편하지만 그만큼 사이트의 속도를 떨어뜨리게 됩니다.
  • img/ : 그누의 기본 이미지
  • install/ : 설치 프로그램 디렉토리, 설치후에는 install.bak으로 바뀜
  • js/ : 자바스크립트 디렉토리
  • lib/ : php 라이브러리 디렉토리
  • skin/ : 그누보드 스킨 디렉토리
    • skin/board/ : 게시판 스킨 디렉토리 (게시판 관리화면에서 지정)
    • skin/connect/ : 현재접속자수 스킨 디렉토리(관리자/기본환경설정)
    • skin/latest/ : 최신 글 스킨 디렉토리 (해당 함수를 호출할 때 지정)
    • skin/member/ : 회원정보 등록/수정 스킨 디렉토리 (관리자/기본환경설정)
    • skin/new : 최근 게시물 스킨 디렉토리 (관리자/기본환경설정에서 지정)
    • skin/outlogin/ : 외부로그인 스킨 디렉토리 (해당함수를 호출할 때 지정)
    • skin/poll/ : 투표 스킨 디렉토리 (해당 함수를 호출할 때 지정)
    • skin/popular/ : 인기검색어 스킨 디렉토리 (관리자/기본환경설정에서 지정)
    • skin/search/ : 검색 스킨 디렉토리 (관리자/기본환경설정에서 지정)
    • skin/visit: 방문자수 스킨 디렉토리 (해당 함수를 호출할 때 지정)


잘 사용하지는 않으나 참고 할 파일

  • cheditor/    : 구버전 cheditor
  • geditor/      : geditor (4.30.00부터 cheditor로 대체)
  • convert/     : 그누 3에서 업그레이드
  • install.bak/ : 설치 후 변경된 설치프로그램 디렉토리 이름




'HOMEP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P  (0) 2014.09.30
그누보드를 이용한 최신 게시물 작성 방법  (0) 2014.09.30
그누보드 설치 방법  (0) 2014.09.13
알FTP 사용법  (0) 2014.09.13
웹 호스팅  (0) 2014.09.11

[그누보드 다운로드]


그누보드4를 설치하는 방법에는 서버를 이용한 FTP 방식으로 설치하는 방법이 편리하다. ftp나 Telnet(또는 SSH)으로 조금 편하게 설치하는 방법이 있는데 Telnet(또는 SSH)은 서버에 따라 지원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는 알FTP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실행하여 본다. 



1. http://sir.co.kr/에 접속해 회원가입을 한다.




2. 그누보드4 - 다운로드 메뉴에서 그누보드 최신버전 혹은 다운로드 횟수가 많은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패치는 주 프로그램이 아니므로 다운받지 않는다. 



한글로 된 홈페이지를 제작하려면 euc-kr을 받아야 한다.

kr은 한국에서 전용으로 사용. utf8은 외국 겸용 board 이다.



3. 다운로드 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고 알FTP로 접속한다.




4. gnuboard4 폴더를 html 또는 www 폴더 안으로 드래그 하거나 선택 후 업로드 버튼을 누른다. 전송이 완료되면 상단의 서버컴퓨터 상태에 [gnuboard4]가 나타난다. 








[그누보드 설치]


1. 권한설정[777]

업로드가 모두 완료되면 업로드한 FTP 상단의 [gnuboard4] 폴더를 오른쪽마우스로 클릭해 [권한 설정] 메뉴를 클릭하면 새로운 창이 나타난다. 




체크 박스를 모두 클릭하면 현재 Mode가 777로 바뀐다. 그리고 확인을 클릭.






2. Web을 연결한 설치

브라우저를 열어 자신의 도메인 주소/gnuboard4 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온다 .확인. 



라이센스에 동의하고 정보를 입력한 뒤 다음 버튼을 누른다.




3. Data Base 환경설정 주의


[MySQL 정보입력]

  • Host: 그냥 그대로 둔다(기존의 이름 그대로 사용).

  • User: 자신의 아이디나 FTP아이디를 그대로 사용한다.

  • Password: FTP 비밀번호를 그대로 사용하면 혼동되지 않는다.

  • DB: User의 아이디와 똑같이 사용한다. 

[최고관리자 정보입력]

최고관리자 정보라함은 홈페이지 접속시 사용되는 최고관리자를 뜻함.

  • ID: 홈페이지에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최고관리자 ID

  • Password: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다(FTP, 호스팅 로그인 등).

  • Name: 홈페이지 게시판에 나타나는 이름이다(본인 닉네임 또는 관리자라 지칭).

  • E-Mail: 본인의 이메일을 기재


[그누보드4의 기본 설치화면]




4. 전체내용 상위로 이동

현재 자신의 도메인 주소/gnuboard4로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도메인 주소로 바로 접근할 수 있도록 gnuboard4폴더의 내용물을 모두 선택하여 상위 폴더로 옮긴다.


 


파일을 모두 선택 - 오른쪽 마우스 - 이동 - html




gnuboard4는 빈폴더가 되었으므로 삭제



자신의 도메인 주소/adm에 접속하면 로그인 창이 뜨고 설치가 완료된다. 













'HOMEP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P  (0) 2014.09.30
그누보드를 이용한 최신 게시물 작성 방법  (0) 2014.09.30
그누보드 폴더 파일구조  (0) 2014.09.13
알FTP 사용법  (0) 2014.09.13
웹 호스팅  (0) 2014.09.11

1. 알FTP 설치


http://software.altools.co.kr/ko-kr/closed.html


2. 사이트맵 -  그룹추가, 루트에 생성 체크




3. 사이트추가 - 루트에 생성 체크 해제




4. FTP 주소, 사용자 ID, 비밀번호 입력 후 확인




5. 완료




6. 업로드 후에는 새로고침★

'HOMEP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P  (0) 2014.09.30
그누보드를 이용한 최신 게시물 작성 방법  (0) 2014.09.30
그누보드 폴더 파일구조  (0) 2014.09.13
그누보드 설치 방법  (0) 2014.09.13
웹 호스팅  (0) 2014.09.11

웹 호스팅 (Web Hosting)


대형 통신업체나 전문회사가 자신들의 웹서버를 개인 또는 개별업체에 제공하거나 임대해 주는 것.

[네이버 지식백과] 웹호스팅 [web hosting] (두산백과)


  • 호스팅 업체: 가비야, 오늘과 내일, cafe24, 닷홈  - ISP 업체
    • 호스팅 용량: 홈페이지에 저장한 자료의 용량
    • 트래픽 용량: 접속량
      1. 포탈 사이트
      2. SNS
      3. 입시 관련 사이트
      4. 쇼핑몰
      5. 관공서


'HOMEP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P  (0) 2014.09.30
그누보드를 이용한 최신 게시물 작성 방법  (0) 2014.09.30
그누보드 폴더 파일구조  (0) 2014.09.13
그누보드 설치 방법  (0) 2014.09.13
알FTP 사용법  (0) 2014.09.13